
파이썬(Python) 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하기 Slicing 슬라이싱

파이썬의 문자열은 각각 문자들의
스퀀스(순서)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문자열에서 원하는 부분을
추출할수 있습니다. (뽑아냄)
1. 하나의 문자만 추출(뽑아내기)
하나의 문자만 추출하려면,
추출하려는 문자의
인덱스 숫자를 써줍니다.
이때 염두하고 있어야 할 것은~
인덱스는 항상 0부터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문자열 ‘abcdefghijk’ 일 때,
a 는 인덱스 0, k 는 인덱스 10입니다.
또한, 마지막 k 는 역순으로 하여
-1이 되므로, -1로 적어야 합니다.
j 는 인덱스가 –2, i 는 인덱스 –3
letters = 'abcdefghijklmnopqrstuvwxyz' # 변수에 문자열 저장
letters # 변수에 저장되었는지 확인
>> 'abcdefghijklmnopqrstuvwxyz'
letters[2] # 인덱스 2, 순서가~ a=0, b=1, c=2
>> 'c'
letters[10] # 인덱스 10
>> 'k'
letters[15] # 인덱스 15
>> 'p'
letters[-1] # 인덱스 -1은 맨 마지막 글자, -1 = z
>> 'z'
2. 문자열에서 원하는 부분을 추출(슬라이싱)
문자열에서 원하는 부분을
추출(슬라이싱) 하기 위해서는
인덱스의 숫자를 적어줍니다.
클론( : ) 앞과 뒤에 숫자를
써주는데 앞에 써주는 숫자는
시작 인덱스입니다.
뒤에 써주는 숫자는
그 숫자 –1 의 인덱스까지
추출해 오겠다는 뜻입니다.
|
여기서 중요!
콜론 왼쪽 숫자는 우리가
추출하기 원하는 시작 인덱스
콜론 오른쪽에 써주는 숫자는
우리가 추출하기 원하는 끝 인덱스 + 1
[ start : end : step] 에서
step가 -1이 되면
문자열을 역순으로 보여줍니다.
letters = 'abcdefghijklmnopqrstuvwxyz' # 변수에 문자열 저장
letters # 변수에 들어왔는지 확인
>> 'abcdefghijklmnopqrstuvwxyz'
# c ~ g 까지 추출(슬라이싱)
letters[ 2 : 6+1 ] # 맨 끝에는 + 1을 꼭 해야한다.
>> 'cdefg'
# a ~ f 까지 추출(슬라이싱)
letters[ : 5+1 ] # 인덱스 0은 생략이 가능하다.
>> 'abcde'
# f ~ 알파벳 끝까지 추출(슬라이싱)
letters[ 5 : ] # 인덱스 맨 끝도 생략 가능!!
>> 'fghijklmnopqrstuvwxyz'
# 맨 뒤에 3개 문자열을 가져오세요.
letters[ -3 : ]
>> 'xyz'
# a, c, e, g, i, k ...y 2개씩 건너뛴 문자열을 가져온다.
letters[ 0 : : 2 ]
>> 'acegikmoqsuwy'
letters[ : : 3 ] #3개씩 건너서 가져온다.
>> 'adgjmpsvy'
letters[ : : -1 ] # step가 -1인 경우는 문자열이 역순으로 보여진다.
>> 'zyxwvutsrqponmlkjihgfedcba'
힐링아무의 코딩일기 힐코딩!
'Python > Python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Python) 문자열 바꾸기 replace() 함수 (0) | 2022.04.25 |
---|---|
파이썬(Python) 문자열의 길이 len() 함수 (0) | 2022.04.25 |
파이썬(Python) 문자열을 쪼개주는 split() 함수 (0) | 2022.04.25 |
파이썬(Python) 문자열을 대문자와 소문자로 바꿔주는 upper(), lower() 함수 (0) | 2022.04.24 |
파이썬(Python) 따옴표 3개의 부호로 줄을 바꾸는 긴 문자열 만들기 (0) | 2022.04.23 |
댓글